제1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기갑사단은 1935년 10월 15일 제3기병사단을 개편하여 창설된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이다. 바이마르에 사령부를 두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폴란드 침공, 프랑스 공방전, 동부 전선 등 주요 전역에 참전했다.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 제10군 예하로 바르샤바 외곽까지 진격했으며, 1940년 프랑스 공방전에서는 아르덴 숲을 돌파하여 됭케르크까지 진격했다. 이후 동부 전선에서 모스크바 공략에 참여했으나 소련군의 반격으로 후퇴했고, 1943년에는 그리스 주둔, 이후 동부 전선에 복귀하여 키예프, 체르카시 전투 등에 참전했다. 종전 직전에는 오스트리아에서 미군에 항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 - 제3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제3기갑사단은 1935년 창설된 독일 국방군 최초의 기갑사단 중 하나로, 폴란드, 프랑스 침공에서 큰 전과를 올렸지만 동부 전선에서 격렬한 전투를 치르며 막대한 손실을 입고 주요 전투에 참여 후 1945년 미군에 항복한, 제2차 세계 대전의 격변과 기갑전의 중요성, 장기전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 - 기갑교도사단
기갑교도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정예 기갑사단으로, 주요 기갑학교 출신 병력과 최신예 전차 및 장비를 갖추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나 연합군에 패배하여 해체되었다. - 1935년 설립 - 캠프 데이비드
캠프 데이비드는 메릴랜드주 캐탁틴 산맥에 위치한 미국 대통령의 별장으로, 1938년 휴양 시설로 개장 후 1942년 대통령 별장으로 지정되었으며, 주요 국제 회담 및 외교 협상 장소로 활용되어 왔다. - 1935년 설립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은 기쿠치 칸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를 기려 제정한 일본의 권위 있는 문학상으로, 신인 및 중견 작가의 단편 및 중편 소설을 대상으로 매년 두 차례 시상하며, 수상자에게는 상금과 회중시계가 수여되고 문예춘추에 수상작이 게재되지만, 저널리즘적 성격과 심사 과정, 심사위원 구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1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명칭 | 제1기갑사단 |
원어 명칭 | — 1. Pz.Div. — XX |
약칭 | 1. Pz.Div. |
복무 기간 | 1935년 10월 15일 – 1945년 5월 8일 |
병과 | 기갑 |
역할 | 기갑전 |
규모 | 사단 |
본부 | Wehrkreis IX: 바이마르 |
휘장 | |
![]() | |
![]() | |
![]() | |
![]() | |
전투 및 작전 | |
주요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침공 프랑스 전투 바르바로사 작전 모스크바 전투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 부다페스트 공방전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막시밀리안 폰 바이크스 |
2. 역사
1935년 10월 15일 기존 제3기병사단을 개편하여 창설되었다. 창설 당시 사단 사령부는 바이마르에 두었다. 제1기갑사단은 2개 전차연대로 구성된 전차여단과 차량화보병여단, 수색대대, 사단포병대대 및 전투지원부대로 구성되었다.
1938년, 사단은 예하 전 부대가 자동차화되어 제16군단 소속으로 전술 훈련을 실시했다. 1939년 9월 폴란드 전투 개시 시점에서 제1기갑사단은 국방군 소속 6개 기갑사단 중 하나였다.
1940년 5월, 하인츠 구데리안 장군의 제19군단에 합류하여 아르덴느 숲을 통과해 프랑스로 진격했다. 세당 시를 과감하게 돌파했고, 5월 16일 영불 해협 해안을 향해 맹렬하게 진격했다. 영국군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됭케르크 15마일 지점까지 진격했으나, 히틀러의 명령으로 진격이 중지되었다(됭케르크의 기적). 정지 명령으로 인해 사단은 3일 동안 영국군이 됭케르크 철수 작전을 성공적으로 완수할 때까지 대기했다.
이후 제39군단에 배속되어 엔강을 따라 진격하며 잔존 프랑스군을 격퇴하고 남쪽으로 진격했다. 6월 12일 달성한 돌파로 벨포트로 진격했으며, 6월 22일 프랑스 항복으로 진격이 중지되었다.
10월, 국방군의 기계화 사단 증설 계획에 따라 제2기갑연대와 추가 병력들이 제16기갑사단 창설을 위해 빠져나갔고, 제113기갑척탄병연대가 편입되었다.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북부집단군 제41군단에 배속되어 에스토니아를 향해 북쪽에서 진격했다. 7월 14일 루가강에 도착하여 레닌그라드까지 112km 지점에 도달했으나, 3주간 진격이 지체되었다. 라도가호에서 레닌그라드 시를 포위한 채 공격이 진행되었고, 도시가 보이는 지점까지 진격했으나, 9월 18일 전선에서 이탈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독일군은 레닌그라드를 직접 점령하는 대신 포위하여 말려 죽이기로 결정하고, 포위망 유지 병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을 모스크바 점령전에 투입하기로 했다. 이로써 4년여에 걸친 레닌그라드 포위전이 시작되었다.
10월 2일, 제41차량화군단 소속으로 모스크바(태풍 작전)를 향한 진격에 합류했다. 제3기갑군 소속으로 독일군 중 가장 모스크바에 가까운 벨위-라스트(Belyi-Rast)(40km 지점)에 11월 마지막 날 도착했다.
이후 두 달 동안 러시아의 겨울 공세에 맞서 독일군 방어선을 사수했다. 모스크바 북서쪽 클린을 12월 7일까지 지켰고, 1942년 1월과 2월에는 모스크바 서쪽 160km 지점에서 소련의 르제프-비아즈마 공세 (1942년)에 맞서 싸웠다. 르제프 지역에서 그 해 마지막까지 버티다가 1943년 1월과 2월에 걸쳐 재편성과 보충을 위해 프랑스로 이동했다.
1943년 6월, 발칸반도에 투입되어 그리스 해안선 방어 임무를 맡았다. 10월까지 임무를 수행한 후 11월에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우크라이나 방어전에 투입되었다. 치타델레 작전(쿠르스크 전투)에서는 공격 임무를 수행하지 않았으나, 러시아의 키에프 서쪽 반격에 맞서 방어전을 치렀다.
1944년 초, 제3기갑군단에 배속되어 체르카시 포위망 구조 작전에 투입되었다. 1944년 4월, 한스 발렌틴 후베 상급대장의 제1기갑군 일부로서 카메네즈-포돌스키 포위망에 갇혔다가 탈출 작전에 투입되었다.
1944년 9월, 카르파티아산맥으로 철수했다. 10월에는 헝가리에 배치되었고, 1945년 1월에는 콘라드 작전에서 부다페스트 구출을 시도했다.
일반적인 독일군처럼 동부 오스트리아 알프스산맥으로 철수하여 미군에 항복했다. 당시 독일군은 소련군에 항복하면 보복당할 것을 우려하여 서쪽으로 철수해 미국이나 영국군에 항복하려 했다.
2. 1. 창설과 초기 활동
제1기갑사단은 1935년 10월 15일 제3기병사단을 개편하여 창설되었다. 바이마르에 사령부를 두었으며, 제2기갑사단, 제3기갑사단과 함께 창설된 3개의 기갑사단 중 하나였다. 당시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전차 개발이 제한되었으나, 비밀리에 전차를 개발하고 소련에서 비밀 전차 학교를 운영하며 조약을 위반했다.[1]초기 제1기갑사단은 2개 전차 연대로 구성된 기갑여단, 차량화보병여단, 수색대대, 사단포병대대 및 전투지원부대로 구성되었다. 1937년 11월에는 3호 전차 Ausf A 초기 생산 버전이 시험용으로 도착했고,[2] 1938년 6월까지 4호 전차 Ausf. A의 첫 번째 물량이 인도되었다.[3]
1938년, 사단은 오스트리아 합병과 수데텐란트 점령, 1939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참여했다.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 당시 제1기갑사단은 독일 남부집단군 제10군 예하 제16군단에 배속되어 상실레지아에 배치되었다. 제16군단은 제1기갑사단과 제4기갑사단으로 구성되어 폴란드를 침공, 바르샤바로 빠르게 진격했다. 9월 16일부터 20일 사이 브주라강에서 폴란드군의 반격을 격퇴했고, 기갑사단의 포위망으로 폴란드군의 저항은 곧 종료되었다. 폴란드 침공 당시 사단의 전차 전력은 다음과 같았다.[20]
1939년 11월, 폴란드 항복 후 독일로 귀환했다.
1940년 5월, 제1기갑사단은 하인츠 구데리안 장군의 제19군단에 합류하여 프랑스 침공에 참여했다. 세단 전투와 덩케르크 전투에 참여한 후 남쪽으로 이동, Weygand Line 공격에 참여하여 벨포르를 점령했다. 프랑스 공방전에서 사단의 전사자는 500명 미만으로 비교적 적었다.[5]
제1기갑사단은 1940년 9월까지 프랑스에 주둔하다 동프로이센으로 이동, 제16기갑사단과 제18기갑사단 창설을 위해 병력을 제공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폴란드 침공과 1940년 프랑스 침공, 1941년부터 1945년까지 동부 전선의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폴란드 침공 당시 1호 전차 93대, 2호 전차 122대, 3호 전차 26대, 4호 전차 56대 등 총 309대의 전차를 보유하고 바르샤바로 진격하여 폴란드군을 격퇴했다.
1940년 프랑스 침공에는 하인츠 구데리안 장군 지휘 하에 아르덴느 숲을 통과, 세당을 돌파하고 영불 해협으로 진격했다. 됭케르크 근처까지 진격했으나 히틀러의 명령으로 정지, 영국군 철수 시간을 벌어주었다. 이후 남쪽으로 진격하여 벨포르를 점령하고 프랑스 항복을 받았다.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동부 전선에 투입, 레닌그라드로 진격했으나 큰 피해를 입었다. 모스크바 공방전에 투입되었지만 소련군 반격으로 후퇴했다. 1942년 르제프 방어전, 1943년 재편성 후 동부 전선 남부에서 "긴급 대응 부대"로 키예프, 체르카시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1944년 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 이후 헝가리와 오스트리아에서 방어전을 치렀다.
제2차 세계 대전 말, 소련군을 피해 서쪽으로 후퇴하여 미군에 항복했다.
2. 2. 1. 폴란드 침공 (1939년)
제1기갑사단은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에 참전했다. 당시 독일 국방군 소속 6개 기갑사단 중 하나였으며, 독일 남부집단군 예하 제10군 소속 제16군단에 배속되어 상실레지아에 배치되었다.[20]제16군단은 제1기갑사단과 제4기갑사단으로 구성되어 북동쪽으로 폴란드를 침공하여 바르샤바로 빠르게 진격했다. 9월 16일부터 20일 사이에는 브주라강에서 폴란드군의 반격을 격퇴했다. 기갑사단의 이중 포위망으로 폴란드군의 저항은 곧 종결되었다.[20]
폴란드 침공 당시 사단의 전차 전력은 다음과 같았다.[20]
2. 2. 2. 프랑스 침공 (1940년)
1940년 5월, 제1기갑사단은 하인츠 구데리안 장군의 제19군단에 합류하여 아르덴느 숲을 통과해 프랑스로 진격했다. 군단은 프랑스의 세당 시를 과감하게 돌파했고, 5월 16일 기갑부대들은 영불 해협 해안을 향해 맹렬하게 진격했다. 영국군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됭케르크 15마일 지점까지 진격했으나, 히틀러의 명령으로 진격이 중지되었다(됭케르크의 기적). 정지 명령으로 인해 사단은 3일 동안 영국군이 됭케르크 철수 작전을 성공적으로 완수할 때까지 보기만 하고 있었다.[5]제1기갑사단은 곧 제39군단에 배속되어 엔강을 따라 진격하며 잔존 프랑스군을 격퇴시키며 남쪽으로 진격했다. 6월 12일 달성한 돌파로 사단은 벨포트로 진격했다. 6월 22일 프랑스가 항복함으로써 제1기갑사단의 진격도 중지되었다.[5]
2. 2. 3. 동부 전선 (1941년 ~ 1945년)
1941년 6월 22일, 바르바로사 작전이 개시되자 제1기갑사단은 북부집단군 예하 제4기갑군 소속으로 참전하여 폴란드 북부에서 리투아니아로 진격했다. 제1기갑사단은 격렬한 전투로 인해 8월 시점에서 최초 배치되었던 155대의 전차 중 가동 가능한 전차가 44대로 감소했다.[6] 사단은 10월까지 레닌그라드를 목표로 전진한 후, 중앙 집단군 지휘 하에 들어가 모스크바를 향해 침공을 계속했다. 부대는 모스크바 인근까지 진격했으나, 소련군의 반격으로 후퇴했다.[6]이후 1942년 초에는 르제프에서의 소련군 반격에 대한 방어전에 종사했지만, 이 시기에는 보유한 전차 수가 매우 적어져 봄 무렵에 보충을 받을 때까지 거의 보병 부대로 싸웠다.[1] 그 후, 제1기갑사단은 동부 전선 중앙부에서 모스크바 방면을 담당하는 제9군의 보급선 방어에 종사했다. 1942년부터 1943년에 걸친 동계에 다시 소련군의 반격 작전이 실행되자 제1기갑사단이 다시 큰 손해를 입을 것이 우려되었기 때문에, 1943년 1월 재편성을 위해 프랑스 국내로 후퇴했다.
1943년 10월에는 신형 전차 판터 및 장포신형 4호 전차 등 충분한 보충을 받아 동부 전선에 복귀했다. 제1기갑사단은 동부 전선의 남부 방면에서 제1기갑군 및 제4기갑군 지휘 하에 "긴급 대응 부대"로서 그때마다 격전지에 배치되어, 키예프, 드네프르 및 체르카시/코르순에서의 방어전에 종사했다. 체르카시/코르순에서의 방어전에서 사단이 소련군의 포위를 탈출했을 때는 사단 전력이 정수의 1/4로 감소했다.
이후 제1기갑사단은 서쪽으로 후퇴하여 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을 치른 후, 더욱 서쪽으로 퇴각하면서 부다페스트 포위전 및 발라톤 호 주변에서의 방어전에서 큰 손해를 입었다.[9]
종전 직전에는 제1기갑사단은 오스트리아 국내로 후퇴했지만, 소련군에 투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서쪽으로 더 후퇴하여 독일 국내 바이에른에서 미군에 투항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 인해 사단의 잔존 병사 대부분은 투항 후 비교적 단기간에 해방되었다.[10]
2. 3. 종전
일반적인 독일군처럼, 제1기갑사단도 동부 오스트리아 알프스산맥으로 철수했고, 그곳에서 미군에 항복했다.[10] 당시 독일군은 소련군에 항복하면 보복을 당할 것으로 생각하여 앞다투어 서쪽으로 철수하여 미국이나 영국군에 항복하려고 했었다. 제1 기갑 사단은 1945년 5월 8일 남부 바이에른에서 항복했으며, 대부분의 병사들은 곧 석방되었다.[10]3. 전쟁 범죄
폴란드 9월 전역 중 사단은 민간인을 대상으로 몇 건의 잔학행위에 가담했다.[1] 사단의 군작전일지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 "부대별 보복활동에 의해, 몇 채의 집과 몇 군데 마을을 불태웠고, 몇몇 민간인들이 저항을 시도했다."[1]
9월 2일과 3일, 사단의 몇몇 소부대가 크루스지나로 진주했다.[1] 9월 4일, 한 병사가 얀 클레코트(Jan Klekot)의 집에 들어가 몸을 씻었다.[1] 제1기갑사단 소속 기갑 차량이 집 근처를 지나갈 때, 그는 창밖을 보았고, 그들을 향해 비명을 질렀는데, 병사들은 그를 실수로 소개했다.[1] 그 결과 독일군은 크루스지나의 폴란드 민간인 25명(얀 클레코트 포함)을 처형했다.[1]
4. 역대 지휘관
취임일 | 계급 | 이름 |
---|---|---|
1935년 10월 1일 | 기병대장 | 막시밀리언 마리아 요제프 라이스프라이헤어 폰 바이크스 주 글론 |
1937년 10월 1일 | 중장 | 루돌프 슈미트 |
1939년 11월 2일 | 소장 | 프리드리히 키르흐너 |
1941년 7월 17일 | 소장 | 발터 크뤼거 |
1944년 1월 1일 | 소장 | 리하르트 콜 |
1944년 2월 19일 | 대령 | 베르너 마르크스 |
1944년 9월 25일 | 중장 | 에버하르트 투네르트 |
5. 부대 편제
제1기갑사단은 1935년 10월 15일 기존 제3기병사단을 개편하여 창설되었다. 창설 당시 사단 사령부는 바이마르에 두었다. 사단은 2개 전차연대로 구성된 전차여단과 차량화보병여단, 수색대대, 사단포병대대 및 전투지원부대로 구성되었다.[20]
1938년, 사단은 예하 전 부대가 자동차화되어 제16군단 소속으로 전술 훈련을 실시했다.
1940년 5월, 제1기갑사단은 하인츠 구데리안 장군의 제19군단에 합류하여 프랑스로 진격했다. 10월, 제1기갑사단은 국방군의 기계화 사단 증설 계획의 일환으로 재조직되었다. 제16기갑사단 창설을 위해 제2기갑연대와 추가 병력들이 빠져나갔으며, 대신 제113기갑척탄병연대가 편입되었다.[20]
이후 제1기갑사단의 편제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 1940년 10월, 제2기갑연대가 제16기갑사단으로 이동.[12]
- 1940년 11월, 제1소총연대 제3대대가 제113소총연대 제1대대로 재편.[12]
- 1941년 2월, 제20차량화보병사단 제69소총연대 제2대대가 제1기갑사단 제113소총연대 제2대대로 편입. 제53포병연대 제2대대를 제73포병연대 제3대대로 개편.[12]
- 1941년 7월, 제1소총연대와 제113소총연대의 부대명을 기갑척탄병연대로 개칭. 제1기갑연대 제1대대는 제1기갑사단에서 제외되어 제16기갑척탄병사단의 제116기갑대대가 됨. 제1기갑연대 제1대대가 빠졌을 때, 제1기갑사단은 오직 1개 전차 대대만 예하에 둠(제1전차연대 제2대대).[12]
- 1944년 9월, 사단은 카르파티아산맥으로 철수.
- 1944년 10월, 사단은 헝가리에 배치.
- 1945년 1월, 콘라드 작전에서 싸움.
- 전쟁 말기, 타트라 기갑사단으로부터 제1009보충대대가 추가.[12]
5. 1. 1939년
1939년 9월 폴란드 전투 개시 시점에서 제1기갑사단은 국방군 소속 6개 기갑사단 중 하나였다. 사단은 독일 남부집단군의 제10군 예하 제16군단에 배속되어 상실레지아에 배치되었다.[20]제16군단은 제1기갑사단과 제4기갑사단으로 구성되어 북동쪽으로 폴란드를 침공했고, 바르샤바로 쾌속 진격했다. 9월 16일~20일 사이에 그들은 브주라강을 따른 폴란드군의 반격을 제거했다. 기갑사단에 의한 이중 포위망으로 폴란드군의 저항은 곧 종료되었다. 폴란드 침공 당시 사단의 전차 전력은 다음과 같다.[20]
- 1호 전차(PzKpfw I) - 93대
- 2호 전차(PzKpfw II) - 122대
- 3호 전차(PzKpfw III, 37mm 전차포 장착) - 26대
- 4호 전차(PzKpfw IV) - 56대
- 구난전차 - 12대
- 총계 - 309대
1939년 10월, 제20차량화보병사단의 제69소총병연대 제3대대가 제1기갑사단 제1소총연대 제3대대로 편입되었다.[12]
5. 2. 1943년
1943년 1월, 제1기갑사단은 재편성과 보충을 위해 프랑스로 이동했다. 이후 6월에 발칸반도로 투입되어 그리스 해안선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10월까지 임무를 수행한 후, 11월에 다시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우크라이나 방어전에 투입되었다. 제1기갑사단은 치타델레 작전(쿠르스크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았으나, 소련군의 키에프 서쪽 반격에 맞서 방어전을 치렀다.[20]1943년, 사단은 다음과 같이 재편되었다.[12]
- 제1기갑연대 제2대대가 제1기갑연대 제1대대로 개편되었다.
- 제103기갑연대의 1개 전차대대가 제2기갑대대로 편입되었다.
- 육군 소속 독립 대공포 대대인 제299대공포대대가 사단에 추가되었다.
1943년 제1기갑사단의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19]
1943년 |
---|
6. 시기별 배치 현황
날짜 | 군단 | 군 | 집단군 | 지역 |
---|---|---|---|---|
1939년 9월 | 제16군단 | 제10군 | 남부집단군 | 라돔, 바르샤바 |
1939년 12월~1940년 1월 | 예비대 | - | B 집단군 | 아이펠, 훈스뤼크 |
1940년 5월 | - | 제16군 | A 집단군 | 룩셈부르크, 좀메 |
1940년 6월 | 제39군단 | 구데리안 군단(12.) | A 집단군 | 프랑스 (앤) |
1940년 7월~1940년 8월 | 제39군단 | 제2군 | C 집단군 | 프랑스 |
1940년 9월~1941년 2월 | 제36군단 | 제18군 | B 집단군 | 동프로이센 |
1941년 2월~1941년 4월 | 예비대 | 제4기갑군 | B 집단군 | 동프로이센 |
1941년 5월 | 예비대 | 제4기갑군 | C 집단군 | 동프로이센 |
1941년 6월~1941년 9월 | 제41군단 | 제4기갑군 | 북부 집단군 | 레닌그라드 |
1941년 10월~1941년 12월 | 제41군단 | 제3기갑군 | 중부집단군 | 비야스마, 모스크바 |
1942년 1월 | 제41군단 | 제3기갑군 | 중부집단군 | 벨리쉬 |
1942년 2월 | 제46군단 | 제9군 | 중부집단군 | 벨리쉬, 르제프 |
1942년 3월~1942년 4월 | 제23군단 | 제9군 | 중부집단군 | 르제프 |
1942년 5월 | 제27군단 | 제9군 | 중부집단군 | 르제프 |
1942년 6월~1942년 7월 | 제23군단 | 제9군 | 중부집단군 | 르제프 |
1942년 8월 | 예비대 | 제4군 | 중부집단군 | 르제프 |
1942년 9월~1942년 11월 | 제39군단 | 제9군 | 중부집단군 | 르제프 |
1942년 11월 | 제41군단 | 제9군 | 중부집단군 | 르제프 |
1943년 1월 | 예비대 | - | D 집단군 | 프랑스 |
1943년 2월 | 예비대 | 제15군 | D 집단군 | 프랑스 |
1943년 3월~1943년 4월 | 예비대 | 제7군 | D 집단군 | 프랑스 |
1943년 5월 | 예비대 | - | D 집단군 | 프랑스 |
1943년 6월 | 예비대 | - | E 집단군 | 발칸반도 |
1943년 7월~1943년 8월 | 제68군단 | - | E 집단군 | 그리스 |
1943년 9월 | 제68군단 | 이탈리아 제11군 | E 집단군 | 그리스 |
1943년 10월 | 제68군단 | E 군 | F 집단군 | 그리스 |
1943년 11월 | 예비대 | 제8군 | 남부집단군 | 북우크라이나 |
1943년 12월 | 제48군단 | 제4기갑군 | 남부집단군 | 시토미르 |
1944년 1월 | 제48군단 | 제4기갑군 | 남부집단군 | 비니차 |
1944년 2월 | 제24군단 | 제4기갑군 | 남부집단군 | 비니차 |
1944년 3월 | 예비대 | 제1기갑군 | A 집단군 | 브로디 |
1944년 4월 | 제59군단 | 제1기갑군 |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 브로디 |
1944년 5월 | 예비대 | 제4기갑군 |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 브로디 |
1944년 6월 | 예비대 | 제1기갑군 |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 브로디 |
1944년 7월 | 제3군단 | 제1기갑군 |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 즐로크조프 |
1944년 8월 | 제48군단 | 제4기갑군 |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 브로디 |
1944년 9월 | 제24군단 | 제1기갑군 |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 카파도키아 |
1944년 10월 | 제3군단 | 제6군 | 남부집단군 | 헝가리 |
1944년 11월 | 제57군단 | 제6군 | 남부집단군 | 헝가리 |
1944년 12월 | 제4군단 | 제6군 | 남부집단군 | 헝가리 |
1945년 1월 | 기병군단 | 제6군 | 남부집단군 | 헝가리 |
1945년 2월~1945년 3월 | 제3군단 | 제6군 | 남부집단군 | 헝가리 |
1945년 4월 | 제4SS군단 | 제6군 | 남부집단군 | 헝가리 |
1945년 5월 | 제4SS군단 | 제6군 | 오스트마르크 집단군[21] | 오스트리아 |
7. 기사십자장 수훈자
연도 | 날짜 | 이름 |
---|---|---|
1940년 | 5월 20일 | 프리드리히 키르흐너 중장 |
5월 20일 | 하인츠 키르흐너 중위 | |
헤르만 발크 중령 | ||
11월 28일 | 에른스트 필리프 중령 | |
1941년 | 3월 17일 | 프란츠 요제프 에킹거 대위 |
7월 15일 | 하랄트 크리이그 중령 | |
7월 19일 | 베르너 피처 소위 | |
9월 29일 | 롤프 프롬메 소위 | |
10월 18일 | 카를 하인리히 핀크 소위 | |
하인츠 프리취 하사 | ||
12월 4일 | 게오르그 페이그 중위 | |
1942년 | 2월 10일 | 벤트 비터샤임 중령 |
4월 6일 | 루돌프 홀스테 대령 | |
9월 14일 | 페테르 길로브 중위 | |
12월 17일 | 게오르그 셰퍼 상사 | |
1943년 | 1월 22일 | 한스 쉬트리펠 원사 |
12월 15일 | 에른스트 요아힘 브라델 중령 | |
12월 17일 | 헤르만 쿤츠 소위 | |
12월 28일 | 베르너 스트렉 대위 | |
1944년 | 1월 31일 | 오토 쉬토디크 중령 |
5월 14일 | 에른스트 뢰쉬 소령 | |
6월 4일 | 카를 노이마이스터 대령 | |
6월 9일 | 알프레드 보자크 중령 | |
12월 11일 | 알프레드 리츠 대위 | |
오토 지버만 상사 | ||
1945년 | 2월 1일 | 에버하르트 투네르트 소장 |
3월 17일 | 에르빈 보흘켄 상사 | |
프리츠 크뤼거 주임원사 |
참조
[1]
서적
Mitcham
[2]
서적
Jentz & Doyle
[3]
서적
Jentz & Doyle
[4]
서적
Mitcham
[5]
서적
Mitcham
[6]
서적
Mitcham
[7]
서적
Mitcham
[8]
서적
Organisation und Mobilisierung des Deutschen Machtbereichs: Kriegsverwaltung, Wirtschaft und personelle Ressourcen, 1942–1944/45
Deutsche Verlags-Anstalt
[9]
서적
Mitcham
[10]
서적
Mitcham
[11]
서적
Mitcham
[12]
웹사이트
Organizational History of the German Armored Formation 1939-1945
http://www.cgsc.edu/[...]
2016-06-15
[13]
서적
Mitcham
[14]
서적
Mitcham
[15]
서적
Mitcham
[16]
서적
Mitcham
[17]
서적
Mitcham
[18]
서적
Mitcham
[19]
웹사이트
Organizational History of the German Armored Formation 1939-1945
http://www.cgsc.edu/[...]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6-06-15
[20]
웹사이트
achtungpanzer.com
http://www.achtungpa[...]
[21]
문서
Heeresgruppe Ostmark. 1945년 4월 2일에 기존의 남부집단군을 개편한 집단군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